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라스트 댄스의 기적! 김연경 만장일치 MVP와 흥국생명 통합우승의 모든 것

by 저널이4 2025. 4. 8.

    [ 목차 ]
반응형

2025년 4월 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 V리그 역사에 길이 남을 대서사시의 마지막 페이지가 장엄하게 쓰였다. ‘배구 여제’ 김연경이 커리어 마지막 경기에서 팀의 통합우승을 이끌고, 만장일치로 챔피언결정전 MVP에 오르며 전설적인 ‘라스트 댄스’를 완성했다. 흥국생명은 정관장과의 챔피언결정전 5차전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세트스코어 3-2 승리를 거두며, 2018-2019 시즌 이후 6년 만에 V리그 정상에 복귀했다. 이번 우승은 구단 통산 5번째 챔프전 우승이자 4번째 통합우승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1. 챔피언결정전 시리즈 전개 요약

2024-2025 도드람 V리그 여자부 챔피언결정전은 정규시즌 1위 흥국생명과 2위 정관장의 맞대결이었다. 시리즈는 5전 3선승제로 치러졌고, 다음과 같은 드라마틱한 흐름을 보였다:

  • 1·2차전 (인천): 흥국생명 승 (2승)
  • 3·4차전 (대전): 정관장 승 (2승)
  • 5차전 (인천): 흥국생명 승

흥국생명이 먼저 2승을 거두며 기선을 제압했지만, 정관장이 홈에서 시리즈를 원점으로 돌렸다. 마지막 5차전은 단순한 승패 이상의 상징성을 띠었다. 김연경의 마지막 무대이자, 시즌의 진정한 피날레였다.

2. 세트별 상세 경기 흐름

■ 1세트: 끈질긴 뒤집기, 듀스 끝에 흥국생명 선취

초반 정관장이 메가와 정호영의 연속 득점으로 앞서나갔지만, 김연경과 투트쿠의 활약으로 추격한 흥국생명이 후반 집중력을 발휘했다. 특히 김연경의 퀵오픈과 블로킹이 빛났다. 24-24 듀스 상황에서 김다은의 블로킹이 터지며 세트를 가져왔다.

■ 2세트: 김연경의 클러치쇼, 또 한 번의 듀스 승리

2세트는 정관장이 크게 앞서며 기세를 잡는 듯 보였지만, 김연경의 블로킹과 오픈 공격, 투트쿠의 후위공격이 불을 뿜으며 5점 차를 극복했다. 특히 세트 막판 21-24에서 3점을 연속 득점하며 듀스를 만들고, 김연경이 다시 마무리했다. 이 세트는 김연경 존재감이 절정에 달한 순간이었다.

■ 3세트: 정관장의 반격

정관장은 초반 7-1로 달아나며 주도권을 쥐었고, 메가와 부키리치가 득점 선봉에 나섰다. 흥국생명이 중반부터 점수차를 좁혔지만, 23-23 듀스에서 김연경의 네트터치 범실과 표승주의 오픈으로 정관장이 한 세트를 만회했다.

■ 4세트: 정관장의 흐름 지속

4세트에서도 정관장이 먼저 흐름을 가져왔다. 메가와 부키리치의 연속 득점에 블로킹까지 더해지며 18-10까지 벌어졌다. 흥국생명이 후반 김연경과 김다은의 분전으로 23-24까지 추격했지만, 메가의 마무리 공격으로 정관장이 세트스코어 2-2 동점을 만들었다.

■ 5세트: 극한의 긴장 속 ‘라스트 댄스’ 완성

마지막 세트는 팽팽한 줄다리기였다. 10점 고지를 먼저 밟은 쪽은 정관장이었지만, 김연경의 오픈과 상대 범실이 이어지며 흥국생명이 재역전. 이후 투트쿠의 연속 득점으로 14-12 매치포인트를 잡았고, 마지막은 역시 투트쿠의 오픈이 경기를 끝냈다.

3. 김연경의 ‘마지막 경기’, 역사로 남다

김연경은 이날 경기에서 34득점(공격성공률 42.62%), 블로킹 7개, 서브 1개로 맹활약하며 팀 내 최다 득점을 올렸다. 단순한 기록 이상의 존재감이었다. 포지션 전환, 블로킹 위치, 경기 흐름 조율 등 김연경은 ‘리더’로서의 모든 요소를 갖췄다.

특히 기자단 투표 31표 중 31표를 모두 획득하며 만장일치 MVP를 수상했다. 이는 역대 두 번째 기록으로, 은퇴 경기에서 이룬 업적이라는 점에서 더 감동적이다.

4. 팀별 주요 활약 선수 분석

■ 흥국생명

  • 투트쿠: 5세트 해결사. 마지막 득점까지 책임지며 V리그 데뷔 시즌을 완벽히 마무리했다.
  • 김다은: 중간 투입되어 세트마다 전환점을 만들어낸 ‘조커’.
  • 피치: 중앙에서 묵직한 블로킹과 이동공격으로 중심을 잡아줬다.
  • 이고은: 세터로서 노련한 경기 운영이 돋보였다.

■ 정관장

  • 메가: 전 경기 동안 꾸준한 득점력. 특히 후위공격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보였다.
  • 부키리치: 세트마다 중요한 타이밍에서 득점을 기록하며 공격을 견인.
  • 정호영·박은진: 블로킹과 속공에서 활약하며 센터진을 탄탄히 구성했다.

5. 팬 반응과 V리그에 남긴 의미

김연경의 마지막 경기는 단순한 ‘은퇴 경기’ 그 이상의 감동을 줬다. 5세트 풀경기, 만장일치 MVP, 통합우승이라는 대단원의 끝맺음은 팬들에게도 평생 잊지 못할 순간으로 남게 될 것이다.

SNS와 커뮤니티에는 “전설의 퇴장답다”, “김연경 없는 배구가 상상이 안 간다”, “덕분에 웃고 울었다” 등 감동의 댓글이 쏟아지고 있다. 이 경기는 단순한 시즌 피날레가 아니라, 한국 여자배구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상징적 순간으로 남게 될 것이다.

마무리

2025년 4월 8일, 인천. 흥국생명은 우승을 차지했고, 김연경은 마지막까지 최고였다. 이보다 더 완벽한 은퇴 무대가 있을까? 스포츠가 주는 감동, 그 진수를 온전히 느낄 수 있었던 ‘라스트 댄스’였다.

 

V리그 여자배구 하이라이트 영상 보러가기

반응형